재건축, 드디어 철거의 시작! 허가부터 감리까지 꼼꼼하게 알아봐요 😊
재건축 사업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철거! 낡은 건물이 사라지고 새 건물이 들어설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설레지 않나요? 하지만 설렘도 잠시, 철거는 복잡한 절차와 안전 문제가 뒤따르는 중요한 과정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재건축 철거 착공, 허가, 그리고 감리 방법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마치 옆집 형, 누나가 이야기해 주는 것처럼 편하게 들어주세요!
1. 철거 전 준비, 꼼꼼함이 생명! 😎
철거를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준비해야 할 사항들이 있어요.
- 물건조서 작성: 기존 건축물에 대한 물건조서와 사진, 영상자료를 만들어 착공 전까지 보관해야 해요. 이 물건조서는 나중에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할 때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되니까 꼼꼼하게 작성해야겠죠? 특히, 건축물의 연면적, 실측평면도, 주요 마감재료 등을 첨부해야 종전 건축물의 가격을 제대로 산정할 수 있어요.
- 석면 조사: 석면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므로 철거 전에 반드시 석면 조사를 실시해야 해요. 석면이 검출되면 전문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제거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2. 철거 허가,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
본격적인 철거를 위해서는 허가권자(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철거 허가를 받아야 해요. 2025년 기준으로 건축물 해체 허가신청서에 해체계획서를 첨부해서 제출하면 되는데요.
- 해체계획서: 해체계획서에는 해체 공사의 개요, 작업 순서, 공법, 안전관리대책, 해체물 처리계획 등이 포함되어야 해요. 특히, 건축구조 전문가가 작성하고 서명날인한 해체계획서를 첨부해야 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 신고 대상: 연면적 500㎡ 미만, 높이 12m 미만, 3층 이하인 건축물은 철거 신고만으로도 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되기도 해요. 하지만, 예외적으로 주변에 버스 정류장이나 횡단보도가 있는 경우에는 허가를 받아야 할 수도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3. 안전 최우선! 철거 감리, 왜 중요할까요? 👷♀️
철거 감리는 철거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해체계획서대로 철거가 진행되는지 감독하는 중요한 역할이에요.
- 감리자 지정: 건축물 철거 허가를 받은 건축물은 반드시 해체공사감리자를 지정해야 해요. 감리자는 해체공사감리 업무에 관한 교육을 이수한 자로 지정해야 하며, 공사 시공자 본인이나 계열사는 감리자로 지정할 수 없어요.
- 감리자의 역할: 감리자는 해체계획서대로 공사가 진행되는지, 안전관리대책이 제대로 이행되는지 등을 확인하고, 건설폐기물이 적절하게 처리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해요. 또한, 매일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시스템에 감리 내용을 등록해야 하며, 주요 해체 작업 시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보관해야 해요.
- 해체작업자의 역할: 해체계획서대로 해체공사를 수행하고, 화재·붕괴 방지 대책, 교통안전·안전통로 확보 대책, 추락·낙하 방지 대책 등 안전관리대책을 수행해야 합니다.
4. 철거 후, 멸실 신고까지 깔끔하게! 😉
철거가 완료되면 건축물 해체공사 완료신고와 건축물 멸실신고를 해야 해요.
- 완료 신고: 철거 허가 대상의 경우에는 해체감리완료보고서를 제출받은 날부터, 철거 신고 대상의 경우에는 건축물을 해체하고 폐기물 반출이 완료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완료신고를 해야 해요.
- 멸실 신고: 해당 건축물이 멸실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멸실신고를 해야 하는데, 건축물을 전면 해체하고 건축물 해체공사 완료신고를 한 경우에는 멸실신고를 한 것으로 간주돼요.
마무리하며… 🤗
재건축 철거는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이지만,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잘 숙지하신다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재건축 성공을 기원합니다!!